주휴수당 지급기준 계산법

2021. 1. 3. 11:12카테고리 없음

반응형

주휴수당 지급기준 계산법

 

주휴수당은 1주 동안 규정된 근무일수를 다 채운 근로자에게 유급 주휴일을 주는 것이라고 한다. 

주휴수당 지급기준 및 지급조건은 상시근로자 또는 단기간 근로자에 관계 없이 하루 3시간,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한 모든 근로자가 적용 대상이 된다고 한다. 

주휴수당 조건은 월급 근로자의 경우 월급에 주휴수당이 포함돼 있지만, 시간제 근로자 등의 경우 ‘1주일 15시간 이상’ 근무 여부에 따라 주휴수당 지급 여부가 결정된다고 한다.

주휴수당 계산·계산법은 주 5일 근무제의 경우는 일주일 중 1일은 무급휴일, 다른 1일은 주휴일이 된다고 한다. 

주휴수당은 일당으로 계산하는데, 보통 1일 '소정근로시간×시간급' 으로 계산한다고 한다. 

주5일근무제에서 하루 8시간씩 주40 시간 근무하면 8시간×시급의 주휴수당을 받게 된다고 한다. 

주휴수당 계산기는 온라인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고 한다. 알바몬 계산기, 네이버 계산기 등이 유명하다.

주휴수당은 7일의 소정근로를 만근하는 경우에 지급되는 수당이라고 한다. 

7일의 요건에 부합해야 지급되는게 주휴수당이라, 마지막주가 7일의 요건에 부합하지 않는다면 지급되지 않는다. 

주휴수당 공휴일 역시 대체공휴일을 유급으로 보장받을 수 있다고 한다.

민사소송으로 넘어갈경우 최대 1년 가까이 걸린다. 

주휴수당 최저임금은 2019년 기준 시간급 8,350원 일급으로 환산시 66,800(8시간 기준), 월급으로 환산 시 1,745,150원(주 40시간 기준)이라고 한다. 

최저임금을 안지킨다면 사용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고 한다.

1주일 동안 소정의 근로일수를 개근하면 지급되는 유급휴일에 대한 수당을 말한다고 한다.

근로기준법 제 55조에 따른다. 

주휴수당 지급기준·지급조건은 하루 3시간, 1주일에 15시간 이상을 일하면 주·휴일에는 일을 하지 않아도 1일분의 임금을 추가로 지급받을 수 있다고 한다. 

주휴수당 조건은 시간제 근로자 등의 경우 ‘1주일 15시간 이상’, 월급 근로자의 경우 월급에 주휴수당이 포함돼 있다고 한다.

반응형
loading